해외선물 기초지식

매수매도시점 잡기 유용한 CCI 지표

해외선물갤러리 청담 2022. 7. 25. 15:29

안녕하세요!

#해선카페 청담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우리는 #이격도매매#이격도의심화 - #엔벨로프지표 매매 방법을 배워보았습니다.

이러한 이격도는 현재의 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차이에서 비롯한 투자라면 CCI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차이점이 있습니다.

우선, 비슷한점은 벌어지는 차이를 활용한 매매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고, 다른점은 수식으로 계산된 평균주가와 이동평균을 활용한다는 것 !

CCI 지표란?

CCI지표의 계발목적은 상품가격의 계절성과 주기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계발되었다. CCI는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가격변동에 대한 추세의 방향과 강도를 알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CCI는 복잡한 수식으로 산출이 어렵지만 주가의 추세 강도와 방향, 매수와 매도 타이밍을 간편하게 확인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CI 지표의 수식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무턱대고 차트에적용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어떤 원리인지 알아야 보다 적극적이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니 해외선물갤러리 청담의 이웃분들께서는 시간을 내어 꼭 알아보세요.

CCI지표 원리 분석

M = 평균주가 (고가+저가+종가) / 3

먼저 M은 주가의 고가, 저가, 종가를 더하여 3으로 나눠 평균주가를 구한 것이다.

N = 단순이동평균

N은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의 변동가격의 평균을 뜻한다. (주로 20일)

D = 이동평균치

위에서 구한 M 평균주가와 N 단순이동평균을 뺴주어 두 값의 차이를 일정기간(20일)으로 나누어서 D 이동평균치를 만든다.

대충 감이 오는 분들도 계실거 같습니다.

이격도, 이격도심화 엔벨로프 와의 차이가 무엇인지 감이 오셨다면 오늘 포스팅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내가 CCI 지표를 활용한다면 수식으로 계산된 평균가의 적용을 활용 할 수 있는 것이지요..

지표값이 0일때에는 평균주가가 이동평균과 같다는 뜻으로 0보다 + 혹은 - 일때 추세가 존재하는 것을 뜻한다.

지표값이 고점일수록 현재의 주가는 평균적으로 높고, 지표값이 저점일수록 현재의 주가는 평균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 추세전환

주가가 높아지는데 불구하고 지표값이 낮아진다면 주가가 하락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

주가가 낮아지는데 불구하고 지표값이 높아진다면 주가가 상승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

삼성물산 차트

첫번째 박스 주가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CCI지표 상승 = 상승추세전환

두번째 박스 주가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CCI지표 하락 = 하락추세전환

BGF리테일 차트

첫번째 박스 주가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CCI지표 상승 = 상승추세전환

두번째 박스 주가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CCI지표 하락 = 하락추세전환

이상으로 오늘은

#CCI지표 를 알아보았습니다.

추세를 비롯하여 매수매도시점을 잡을때 유용하게 사용하길 바랍니다.